시사

대한민국 경찰의 계급 체계

건보감 2025. 4. 24. 21:57
반응형

대한민국 경찰의 계급 체계는 군대와 유사한 위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, 총 11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아래는 대한민국 경찰의 계급 조직표입니다(높은 계급부터 낮은 계급 순):


경찰 계급 조직표

  1. 치안총감
    • 경찰청장 1명
    • 대한민국 경찰의 최고 책임자입니다. 전체 경찰 조직을 총괄합니다.
  2. 치안정감
    • 경찰청 차장, 각 지방경찰청장 등 고위직에 해당
    • 주요 본청 부서나 대형 지방청을 지휘
  3. 치안감
    • 지방경찰청 부장급 또는 경찰청 국장급
    • 전국 주요 지방청의 주요 부서를 책임
  4. 경무관
    • 경찰청 과장 또는 지방청 과장급
    • 중간 간부로서 경찰 정책 수립과 집행을 담당
  5. 총경
    • 경찰서장급(일반적으로 경찰서장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계급)
    • 일선 경찰서의 지휘 책임자
  6. 경정
    • 경찰서 과장 또는 경찰청 실무 부서의 책임자
    • 실무 및 행정 책임을 수행
  7. 경감
    • 경찰서 팀장 또는 파출소장급
    • 일선 지구대나 파출소에서 현장 실무 지휘
  8. 경위
    • 일반적인 수사팀장이나 지휘급 실무자
    • 팀원들을 지휘하며 행정 및 수사 실무 병행
  9. 경사
    • 현장 경찰의 중심 인력
    • 다양한 현장 업무를 수행하며, 후배 경찰들을 지도하기도 함
  10. 경장
    • 신임 경찰관에서 일정 경력 후 진급
    • 실무에 익숙해지기 시작하는 단계
  11. 순경
    • 경찰의 가장 기본 계급
    • 경찰학교를 졸업하고 현장에 배치된 신입 경찰

참고사항

  • 대부분의 경찰은 순경으로 입직하여 경장, 경사, 경위 등으로 승진해나가며, 일정 기간 경과와 시험, 실적 등을 통해 진급합니다.
  • 고위 계급인 총경 이상은 일반적인 승진이 아닌 정부의 인사 명령에 따라 임명되며, 상당한 경험과 실적이 요구됩니다.
  • 경찰 계급은 계급장과 제복의 모양으로 구분되며, 현장에서 시민들도 계급장을 통해 경찰의 직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.